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황장애 증상과 자가진단, 약에 관해 알아봅시다.

by 건강하게살자구요 2023. 9. 13.

공황장애는 예상치 못하고 반복적인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불안 장애입니다. 이러한 공황 장애는 몇 분 안에 절정에 이르고 신체적, 심리적으로 강렬한 공포감에 휩싸이게 됩니다. 공황장애 증상과 자가진단 및 약에 대해 알아봅시다.

공황장애
공황장애

목차

    공황장애 증상

    1. 신체적 증상

    • 빠르고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
    • 오한 또는 안면 홍조 증상
    • 머리가 어지럽거나 희미한 느낌
    • 과도한 땀과 몸의 떨림증상
    • 흉통과 메스꺼움
    • 따끔거림 또는 저림

    2. 심리적 증상

    • 임박한 운명이나 두려움의 느낌
    • 자제력을 잃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 죽음에 대한 두려움
    • 자신이나 현실로부터 분리된 느낌
    • 강렬한 불안

    3. 행동 변화

    • 과거에 공황발작이 일어났던 장소나 상황 피하기 ( 밀폐된 공간, 대중교통, 군중 속)
    • 갑자기 발생하는 발작을 피하기 위한 일상 패턴의 변화

    공황 장애가 있는 분은 미래의 생길 공황증상에 미리 걱정하고 이러한 두려움과 회피로 일상생활과 사회관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공황장애 자가진단

    아래의 증상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10분 이내에 나타나고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공황장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황장애는 급격하게 증상이 나타나고 1시간을 넘어가는 경우는 드물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토할 것 같고 울렁거리는 증상
    • 미칠 것 같은 느낌
    • 자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느낌
    • 가슴통증과 답답한 느낌
    • 주변이 비현실적인 느낌
    • 숨이 가쁘고 숨이 막힐 것 같은 느낌
    • 심장이 뛰고 맥박이 빨라지는 증상
    • 현기증과 쓰러질 것 같은 느낌
    • 식은땀이 갑자기 많아지는 증상
    • 손이나 발, 몸의 떨림
    • 오한 또는 얼굴에 열이 오르는 증상
    • 나쁜 일이 생길 것 같은 공포감
    • 몸의 감각이 둔해지고 따끔거리는 증상
    • 꿈을 꾸고 있는 듯한 느낌
    • 극도로 불안한 느낌
    • 죽을 것 같은 느낌

    공황장애 약

    약물 치료는 정신과 치료와 생활 습관의 변화 등과 결합될 때 효과적인 선택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의 특정 증상이나 병력 및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뇌의 세로토닌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종의 항우울제입니다. 세로토닌은 기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공황장애를 치료하는데 일반적인 약품입니다. 약으로는 설트랄린, 플루옥세틴, 파록세틴이 있습니다.

    공황장애 약
    졸로푸트 ( 공황장애, 설트랄린 )

    2. 세로토닌 -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뇌의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증가시켜 공황장애를 억제하는 항우울제입니다. 벤라팍신이 있습니다.

     

    3. 벤조디아제핀

    공황 발작 증상을 빠르게 완화할 수 있는 속효성 항불안제입니다. 그러나 의존성 및 금단의 위험 때문에 단기 사용을 위해 처방이 되고 있습니다. 약으로는 알프라졸람과 클로나제팜이 있습니다.

     

    4. 삼환계 항우울제(TCA)

    삼환계 항우울제는 SSRI나 SNRI가 효과가 없거나 내약성이 좋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오래된 항우울제입니다. 공황장애에 사용되는 TCA의 종류로는 이미프라민과 노르트립탈린이 있습니다.

     

    ※ 내약성 : 항균제의 반복적인 투여로 병원체가 약물에 대해 저항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5. 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는 주로 공황 장애 치료에 사용되지 않지만 빠른 심장 박동 및 떨림과 같은 불안 증상을 위해 처방되기도 합니다.

     

     

    층간소음 수면장애와 갱년기 수면장애 영양제

    층간소음 수면장애는 주변 환경이나 다른 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잠을 깨거나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수면을 방해하고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갱년기 수면장애는 여성들이 폐경

    infor.ppuub.com